본문 바로가기
Test & Drive

아이나비 6.0.. 메뉴의 변화 - 경로검색 : 검색 1

by 無限_CL9 2011. 12. 19.










이제부터 아이나비 6.0의 변화된 모습을 하나씩 살펴보도로 하겠습니다.

아이나비 6.0의 구동화면에서는 좌측과 하단의 메뉴 색상이 바뀌고 좀더 큼직큼직하게 보인다는 것 뿐 큰 변화를 느낄수는 없습니다.

하지만 목적지를 찾기위한 내비게이션의 본래의 목적을 위해 메뉴에 들어가면 달라집니다...

좌측 하단의 아이나비 로고를 누르면 메뉴로 들어갑니다... 고고씽~~~~~~~~~~~



그전에 먼저....
지난 5.0 버전의 메뉴 화면을 봐야 어떤게 바뀌었는지 아실수 있으시겠지요??? ^^
그래서 지난 버전의 메뉴를 먼저 보여드립니다..



드디어 아이나비 6.0의 메뉴의 모습입니다.
지난 버전과 많이 달라진것을 느낄수 있습니다.
디자인과 색상, 그리고 검색 모드까지 변화된 모습을 차례대로 그림과 함께 보시겠습니다..



검색 기능에서는 6가지의 검색 옵션을 지원합니다..



첫번째 검색 옵션인 통합 검색에서 반포역으로 검색해보겠습니다.
자판의 배열이 이전의 쿼티에서 바뀌었고 이전에 비해 자판을 누르기 위해 움직이는 거리가 짧아져 입력시간이 줄어들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메뉴의 좌측에는 입력방법도 설명되어 있어 처음 사용하는 이용자도 쉽게 알수 있도록 했습니다.



반포역 지하철역이 가장먼저 검색되고 하단에는 하위시설과 i 정보, 위치보기, 바로탐색의 4개의 메뉴가 나옵니다.



하위시설을 선택하면 지하철역의 하위시설인 출구와 화장실, 승강기의 정보가 표시됩니다.


i 정보를 선택하면 지하철역에 대한 정보와 지하철 첫차와 막차의 시간, 편의시설등의 정보가 표시됩니다.
i 정보에서 지하철역의 모든 시간표가 표시되면 더욱 편리할 듯 싶습니다.


위치보기를 선택하면 해당 목적지 주변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바로탐색을 누르면 목적지까지의 검색 결과를 알려줍니다.



두번째 검색 옵션인 Live 검색입니다.
Live 검색은 WIFI나 블루투스를 통해 접속된 인터넷과 함께 목적지를 검색하는 기능입니다. 




이번에는 지하철역이 아닌 버스정류장이 맨 윗쪽에 표시됩니다.
이때는 통합검색때와 다르게 하위 시설물 버튼이 활성화되어 있진 않음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당연한 말이겠지만 버스정류장에는 하위 시설물이 없기 때문이지요.. ^^



지하철역처럼 하위 시설물이 있는 목적지라면 하위 시설물 버튼이 활성화 됩니다.


우측의 지역 검색(구글) 버튼을 누르면 목적지에 대한 보다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날씨 정보를 누르면 구글을 통해 해당 지역의 날씨를 확인할 수 있어 너무나도 똑똑합니다.




세번째 검색 옵션인 주소검색입니다.
주소검색을 선택하면 아래처럼 지도와 시도의 이름이 절반씩 나오는 화면을 보실 수 있습니다.
왼쪽의 지도에서 선택을 하던지 아니면 우측의 이름에서 선택을 하던지는 이용자의 선택입니다.
개인적으로 우측의 첫번째 화면에 나오지 않는 시도라면 지도에서 선택하는게 편합니다.



제가 살고있는 서울특별시를 선택했습니다.
서울시의 구가 나오고 맨위의 강남구를 선택해봅니다.



예전의 주소로 검색을 할것인지 새로운 주소체계로 검색을 할것인지 물어봅니다.



주소검색을 선택하니 강남구에 속한 동 이름이 나옵니다.
여기서는 개포동을 선택해봅니다.



아파트 이름으로 검색할 것인지 지번으로 검색할 것인지를 물어봅니다.
일단 아파트 이름으로 검색해 보겠습니다.



아파트의 이름이 나열되고 여기서 선택하면 됩니다.
하지만 맨 아래쪽에 있는 아파트는 선택하는데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우측의 결과내 검색을 눌러 보다 빨리 검색할 수 있습니다.



지번 검색을 선택하면 아래처럼 지번을 입력하여 목적지를 검색할 수 있습니다.



강남구를 눌렀을 때 나오는 주소 검색과 신 주소 검색 중 이번에는 이번에는 신 주소 검색입니다.
강남구에서 신 주소 검색을 선택하면 아래처럼 도로명으로 된 주소가 순서대로 나열됩니다.
주소검색에서 아파트 이름을 검색할 때처럼 우측의 결과내 검색을 눌러서 보다 빨리 검색할 수 있습니다.



다음편에는 주변검색과 테마검색, i-code 검색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